그리하여 3번식도 V는 t방향을 가진 속도이니 그것을 크기로 나누면 t방향에 대한 et 가 나온다고 이해 하였습니다.
그 이후에 2번식에 경우 t방향을 가진 가속도 at는 a의 크기인 |a|가 아닌 단위좌표계가 포함된 a와 et를 곱해서 구한것에 의문이 들었습니다.
a와 v모두 t방향에 대해서 구하였는데
v는 크기|v|와 et을 곱해서 구하여 단위좌표계가 포함된 값이 나오고
a는 단위 좌표계가 포함된(방향성을 가진) a와 et을 곱하여 단위좌표계가 포함되지 않은 값이 나온 이유가 궁금합니다.
강의 자료 아래의 사진은 제가 풀어본 틀린 풀이인데 어떤 오류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1
Cha Woon-Yong2022-11-28 13:23
V_t는 V의 스칼라 크기에다 e_t(접선방향 단위벡터)를 곱해준 값입니다. 그리하여 접선방향의 속도방향 좌표계를 구한 것이죠.
a_t는 민재 학생이 구한 방법의 경우 좌표계 형태로 구한 것이고, 문제 흐름상 a_t의 스칼라 크기를 구해야 했기에 이에 대한 차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다시 말해, 스칼라로 구할지 좌표계 형태로 구할지의 선택 차이일 뿐입니다.
예제 12번문제 공부중 방향 단위좌표계에 대한 개념이 이해가 안되어 질문 드립니다.
사진 속 1번 식을 저는 V는 t방향만 존재하기 때문에
1번 아래에 파란색으로 쓴 식 처럼 Vt=V=|V|et 라고 이해를 했습니다.
그리하여 3번식도 V는 t방향을 가진 속도이니 그것을 크기로 나누면 t방향에 대한 et 가 나온다고 이해 하였습니다.
그 이후에 2번식에 경우 t방향을 가진 가속도 at는 a의 크기인 |a|가 아닌 단위좌표계가 포함된 a와 et를 곱해서 구한것에 의문이 들었습니다.
a와 v모두 t방향에 대해서 구하였는데
v는 크기|v|와 et을 곱해서 구하여 단위좌표계가 포함된 값이 나오고
a는 단위 좌표계가 포함된(방향성을 가진) a와 et을 곱하여 단위좌표계가 포함되지 않은 값이 나온 이유가 궁금합니다.
강의 자료 아래의 사진은 제가 풀어본 틀린 풀이인데 어떤 오류가 있는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