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제 4번 문제에서 중력에 의한 차량에 가속도를 a=9.81로 나타내었는데 여기서 +와-의 부호가 답에 영향을 주지는 않지만 변위는 -부호로 나타내고 높이는 +로 나타내는것이 정확한 표현인지 생각 해보았습니다.
가속도에 -부호를 넣게 되면 속도 공식도 -가 되어버려서 더이상 이해가 안되어 질문 남깁니다. (속도에 붙은 -가 속도의 방향이라고 생각하면 되는지)
예제 9번에서와 같이 중력에 의한 가속도를 -로 나타내지 않은 이유가 궁금합니다.
1
Cha Woon-Yong2022-10-25 22:32
예제4번 문제는 단순히 변위를 구하는 문제이고, 자동차의 움직임이 단일방향으로 정해져 있기 때문에 중력방향으로 변위가 발생한다 하더라도 가속도에 굳이 (-) 부호를 넣을 이유가 없습니다.
(만약, 가속도에 (-)부호를 적용한다면 변위도 (-)값이 나오겠죠. 이 경우는 중력방향을 (-)방향으로 고려한 것이므로, 변위값이 (-)라는 얘기는 중력방향으로 변위가 발생했다는 뜻이 됩니다.)
예제9번 문제는 단일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X축과 Y축을 모두 고려하여 문제를 푼 것이고.. 따라서 반대방향에 대해서는 (-) 부호를 적용해줘야 합니다.
예제 4번 문제에서 중력에 의한 차량에 가속도를 a=9.81로 나타내었는데 여기서 +와-의 부호가 답에 영향을 주지는 않지만 변위는 -부호로 나타내고 높이는 +로 나타내는것이 정확한 표현인지 생각 해보았습니다.
가속도에 -부호를 넣게 되면 속도 공식도 -가 되어버려서 더이상 이해가 안되어 질문 남깁니다. (속도에 붙은 -가 속도의 방향이라고 생각하면 되는지)
예제 9번에서와 같이 중력에 의한 가속도를 -로 나타내지 않은 이유가 궁금합니다.